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1주일 만에 보네요. 오늘 카메라에 포착된 김경수 경남도지사의 문자 하나가 화제가 되고 있는데, 그 내용부터 일단 소개해주시죠. <br> <br>오늘도 어김없이 코로나19 중앙대책본부 회의가 있었습니다. <br><br>그 직후로 추정되는데,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이런 문자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><br>중대본 회의 때 보건복지부 장관이 이태원, 논현동, 익선동은 특정 집단의 이동경로니 적극 대응해달라고 했는데 대단히 위험한 얘기다, 정부 대응이 특정 집단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, 이렇게 지적한 겁니다. <br><br>Q. 장관 발언을 지적한 건데, 김경수 지사는 저 문자를 누구한테 보낸 겁니까? <br> <br>특이한 건 김 지사가 직접 대화방을 만든 뒤 이 글을 남긴 건데요, 정확히 누구누구를 초대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답장한 사람은 문승욱 국무조정실 2차장이었습니다. <br> <br>문 차장은 김 지사의 지적에 복지부 측에 대외적으로 불필요한 언급이 없도록 협의하겠다, 이런 답장을 보냈습니다. <br> <br>Q. 답장까지 쓴 거군요. 일단 내용만 보면 특정 집단을 타깃하면 안 된다는 게 여권의 공통된 인식이긴 해요. <br> <br>그렇죠. 사회적 공격이 특정 집단에 몰리면 아무래도 방역에 더 큰 어려움이 있겠죠. 오늘 이해찬 대표도 같은 얘기를 했습니다. <br><br><br><br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집단감염이 발생한 특정집단, 지역, 세대에 대한 비난과 혐오는 이 전쟁에서 결코 승리할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다만 도지사가 방역대책 책임자인 보건복지부 장관의 발언을 문제 삼는 게 적절하냐, 이런 말도 나옵니다. <br><br>Q. 그러니까요. 저도 조금 전에 보면서 '장관님 인식이 그렇다는 건데 걱정되네요' 저 표현이 딱 눈에 띄더라고요. <br> <br>그렇죠. 친문 핵심이 아니면 저런 말을 할 수 없지 않을까, 이렇게 생각도 드는데, 더욱이 김 지사의 지적에 답장을 보낸 문승욱 차장은 지난 8일 국무조정실 2차장에 임명되기 직전까지 경상남도 경제부지사로 김경수 지사를 보좌했습니다. <br> <br>한편에선 중대본 회의 자체가 비공개인데, 비공개 회의에선 얼마든지 나올 수 있는 발언을 김 지사가 지나치게 문제 삼은 것 아니냐, 이런 말도 나옵니다. <br><br><br><br>Q. 그렇군요. 다음 주제 넘어가 보겠습니다. 취임 3주년을 맞은 문재인 대통령을 두고 여권 내에서 태종이다, 세종이다, 때아닌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요? <br> <br>오늘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<br><br><br><br>태종이라는 하나의 현상에 문재인 대통령을 가두는 것에 다른 의견이 있다면서 지난 3년 태종의 모습이 있었다면 남은 2년은 세종의 모습을 연상케 하는 것이 바람이다, 이렇게 밝혔습니다. <br> <br>이광재 더불어민주당 당선자가 문 대통령을 태종에 비유한 것에 대한 청와대의 답변인데요, 이 당선자 발언도 들어보시죠. <br> <br>[이광재 / 더불어민주당 강원 원주갑 당선자 (지난 8일, 출처:유튜브 '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')] <br>노무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어떻게 보면 태종 같은 거다. 기존의 질서를 해체하고 새롭게 과제를 만드는 태종이었다면, 세종의 시대가 올 때가 됐다. <br> <br>Q. 이 발언에 청와대는 문 대통령은 태종이 아닌 세종이다, 이렇게 답한 셈인데, 약간의 불편함이 담겨 있다고 봐야 할까요? <br> <br>이광재 당선자에 앞서서 태종 발언을 한 사람이 있습니다. 바로 노무현 전 대통령인데요, <br><br><br><br>노 전 대통령은 2003년 11월 원로 지식인들과의 간담회에서 태종이 세종 시대의 기반을 닦았다면서 자신은 새 시대의 맏형, 즉 세종이 되고 싶었는데 구시대 막내 노릇밖에 할 수 없다,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당시는 검찰이 불법 대선자금 의혹을 수사하던 때입니다. 다시 말해 태종 발언에는 새 시대를 열지 못한 좌절감이 녹아있는 겁니다. 이후 노 전 대통령은 구시대 막내 노릇에 대한 아쉬움을 여러 차례 토로했습니다. <br> <br>[노무현 / 당시 대통령 (2007년 11월)] <br>내 딴엔 새집에 들어왔다고 생각했는데 쓰레기들이 많이 있었어. 그래서 내가 할 몫을 다시 수준을 낮춰서 구시대의 막내 노릇, 마지막 청소부 노릇을 할 수밖에 없다. <br> <br>Q. 이광재 당선자하면 노무현 정부 때 초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냈잖아요. 노 전 대통령이 말한 태종의 의미를 알고 있다고 봐야겠죠? <br> <br>그렇죠. 문재인 대통령을 구시대 막내로 묶어놓은 거니 친문 진영에서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세종대왕 같은 성군이 되겠다는데 반대할 이유는 전혀 없겠죠. <br><br><br><br>오늘의 한마디는 세종대왕의 이 욕심만은 꼭 닮기를 바라서 정했습니다. 바로 '인재 욕심'입니다. <br> <br>Q. 세종이든 태종이든 그 역사적 평가는 대통령 퇴임 후에 국민들이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